생명의 역사와 지질시대

대멸종 : 지구 생명의 전환점 (Mass Extinctions)

purplemomkr 2025. 1. 19. 17:49

대멸종 : 지구 생명의 전환점

대멸종(Mass Extinction)은 지구 역사에서 대규모로 생물종이 사라지는 사건으로, 생태계의 급격한 변화와 생물 진화에 중대한 영향을 미친 사건들을 말합니다. 대멸종은 지구의 생물 다양성에 근본적인 변화를 초래하며, 기존 생물군이 사라지고 새로운 생물군이 부상하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대멸종은 천체 충돌, 화산 활동, 기후 변화, 해양 산성화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해 발생했으며, 지금까지 다섯 번의 주요 대멸종이 확인되었고, 현재 여섯 번째 대멸종이 진행 중입니다.

 

주요 대멸종 개요 (출처 : Budjarn Lambeth)

 

 

현생누대 동안 속의 멸종 비율 (출처 : Late Ordovician Mass Extinction: Earth, fire and ice ❘ National Science Review ❘ Oxford Academic)

 


1. 오르도비스기-실루리아기 대멸종 (약 4억 4,300만 년 전)

발생 원인

  • 급격한 빙하기의 도래로 해수면이 크게 하강하여 해양 생태계가 붕괴했습니다.
  • 빙하 형성으로 인해 얕은 해양 서식지가 급감했고, 해양 순환이 방해를 받아 산소 부족 상태가 발생했습니다.
  • 이산화탄소 농도의 감소와 함께 기후가 급격히 냉각되었습니다.

오르도비스기 - 실루리아기 대멸종 기간의 생명체와 환경 관련 사건 (출처 : Late Ordovician Mass Extinction: Earth, fire and ice ❘ National Science Review ❘ Oxford Academic )

 

영향과 피해 규모

  • 해양 생물의 약 85%가 멸종했습니다. 삼엽충, 완족류, 산호류 등 얕은 바다에 의존하던 생물이 특히 큰 타격을 받았습니다.
  • 멸종은 여러 단계로 발생했으며, 서서히 해수면이 회복되며 새로운 생물군이 출현하기 시작했습니다.

해양생물 과의 다양성 변화 (출처 : Ordovician-Silurian extinction ❘ Overview & Facts ❘ Britannica)

 


2. 데본기 말 대멸종 (약 3억 5,900만 년 전)

발생 원인

  • 해양의 저산소 사건(Anoxic Event)으로 인해 산소가 부족한 해양 환경이 반복적으로 발생했습니다.
  • 화산 활동이 활성화되며 기후가 불안정해졌고, 이로 인해 해양 생태계가 지속적인 압박을 받았습니다.
  • 육상 식물의 대규모 확장이 토양 침식을 촉진했고, 영양 염류가 해양으로 유입되며 해양 생태계가 혼란에 빠졌습니다.

데본기의 멸종 (출처 : Late Devonian Extinctions - Sam Noble Museum)

영향과 피해 규모

  • 해양 생물의 약 70%가 멸종했습니다. 삼엽충, 갑주어류, 산호류가 큰 타격을 받았으며, 얕은 바다의 생물군이 크게 감소했습니다.
  • 데본기 말기에는 육상 생물군도 영향을 받아 생태계 전반이 혼란스러웠습니다.

멸종된 삽엽충과 완족류 예시 (출처 : Late Devonian Extinctions - Sam Noble Museum )


3. 페름기-트라이아스기 대멸종 (약 2억 5,200만 년 전)

발생 원인

  • 시베리아 트랩 화산 활동으로 인한 대규모 용암 분출과 메탄 방출이 주요 원인으로 지목됩니다.
  • 대기 중 이산화탄소와 메탄 농도가 급증하며 온실 효과가 심화되었고, 이는 해양 산성화와 산소 부족으로 이어졌습니다.
  • 기후 변화와 해수면 변동으로 육상과 해양 생태계가 심각한 영향을 받았습니다.

Permian Extinction Event ❘ Definition, Cause & Evidence ❘ Study.com

영향과 피해 규모

  • 전체 생물종의 약 96%가 멸종했습니다.
    • 해양 생물: 삼엽충, 완족류, 산호류 등이 멸종.
    • 육상 생물: 초기 파충류와 포유류형 파충류가 큰 피해를 입었습니다.
  • 이는 지구 역사상 가장 심각한 대멸종 사건으로, 생태계가 회복되기까지 수백만 년이 걸렸습니다.

The Great Permian Extinction: When all life on Earth ❘ Earth Archives

 


4. 트라이아스기-쥐라기 대멸종 (약 2억 년 전)

발생 원인

  • 판게아 초대륙이 분열하며 대규모 화산 활동이 발생했습니다.
  • 화산 활동으로 인해 대기 중 이산화탄소 농도가 급증하며 지구 온난화가 발생했습니다.
  • 해양 산성화와 산소 부족이 해양 생태계를 약화시켰습니다.

Volcanism of the Central Atlantic magmatic province as the trigger of environmental and biotic changes around the Triassic-Jurassic boundary

 

영향과 피해 규모

  • 생물종의 약 70%가 멸종했습니다. 육상 파충류와 해양 생물군이 큰 타격을 받았습니다.
  • 초기 공룡과 포유류형 파충류는 상대적으로 영향을 덜 받아 이후 번성할 수 있는 기회를 얻었습니다.

5. 백악기-팔레오기 대멸종 (약 6,600만 년 전)

발생 원인

  • 멕시코 유카탄 반도에 충돌한 대형 소행성이 주요 원인으로 지목됩니다. 충돌로 발생한 먼지와 기체가 대기를 뒤덮으며 햇빛이 차단되었습니다.
  • 화산 활동(데칸 트랩)도 동시에 발생하며 대규모 이산화탄소 방출로 지구 온난화와 해양 산성화를 초래했습니다.

The Cretaceous-Paleogene Extinction Event - WorldAtlas

영향과 피해 규모

  • 생물종의 약 75%가 멸종했습니다. 특히 공룡과 암모나이트 같은 대형 생물이 사라졌습니다.
  • 멸종 이후 포유류와 조류가 주요 생태적 지위를 차지하며 현대 생태계의 기초를 형성했습니다.

6. 현재 진행 중인 여섯 번째 대멸종

발생 원인

  • 인간 활동이 주된 원인입니다. 삼림 벌채, 서식지 파괴, 산업화, 온실가스 배출 등이 멸종 위기를 가속화시키고 있습니다.
  • 기후 변화와 플라스틱 오염, 해양 산성화도 주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영향과 특징

  • 멸종 속도는 자연적인 멸종 속도보다 수백 배 빠릅니다.
  • 세계자연보전연맹(IUCN)의 보고에 따르면, 약 1백만 종 이상의 생물이 멸종 위기에 처해 있습니다.
  • 포유류, 조류, 양서류를 포함한 다양한 생물이 멸종 위험에 놓여 있습니다.

대멸종의 의의와 교훈

대멸종은 생물 진화의 중요한 전환점으로 작용하며, 새로운 생태계와 생물군의 출현을 가능하게 했습니다. 예를 들어, 백악기-팔레오기 대멸종 이후 포유류와 조류가 번성하며 오늘날의 생태계를 형성할 수 있었습니다. 하지만 대멸종은 생물다양성의 급격한 감소와 생태계 붕괴를 동반하며, 이를 극복하는 데 수백만 년의 시간이 필요합니다.

현재 진행 중인 여섯 번째 대멸종은 인류가 그 원인이라는 점에서 특별한 의미를 갖습니다. 지속 가능한 발전과 생물 다양성 보전은 이러한 위기를 해결하는 데 필수적이며, 과거 대멸종에서 배운 교훈을 바탕으로 미래를 설계할 필요가 있습니다.

반응형